연준 매파 발언에 12월 금리인하 기대 급속 약화
AI 중심 기술주 급락하며 시장 전반 매도 확산
디즈니·테슬라 부진, 시스코는 실적 상향으로 상승

[포인트데일리 성창훈 기자] 미 연방정부 셧다운 종료 소식에도 뉴욕증시는 13일(현지시간) 뚜렷한 약세 흐름을 피하지 못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주요 인사들의 잇단 ‘매파’ 발언으로 12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크게 훼손되면서, 고평가 부담이 컸던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쏟아졌기 때문이다.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797.60포인트(–1.65%) 하락한 47,457.22에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113.43포인트(–1.66%) 떨어진 6,737.49로 마감하며 한 달여 만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기술주 비중이 큰 나스닥 종합지수도 536.10포인트(–2.29%) 급락한 22,870.36으로 장을 마쳤다.
43일간 이어지던 연방정부 셧다운 사태가 전날 종료되며 불확실성 요인은 제거됐지만, 시장은 곧바로 차익 실현에 나섰다. 셧다운 동안 발표가 지연됐던 주요 경제지표가 다시 공개되기 시작하면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경계심도 매도세를 자극했다.
특히 연준 인사들의 잇따른 발언이 시장 심리를 냉각시켰다. 12월 금리 결정의 직접 투표권을 가진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당분간 금리를 현 수준에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못 박았고, 같은 투표권을 가진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도 이날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내년 투표권을 행사할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또한 “긴축적 정책 기조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며 시장 기대를 더 낮췄다.
실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이 12월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은 이날 52%로 집계됐다. 불과 일주일 전 70%까지 올랐던 전망이 크게 후퇴한 것이다.
금리 인하 기대 약화는 기술주에 직격탄을 날렸다. 엔비디아(–3.56%), AMD(–4.21%), 팰런티어(–6.53%) 등 AI 대표 종목들이 깊은 조정을 받았고 테슬라도 6.65% 하락하며 낙폭을 키웠다.
종목별로는 월트디즈니가 3분기 매출이 시장 전망을 밑돌면서 7% 이상 급락해 다우지수 하락을 견인했다. 반면 시스코는 향후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4.6% 상승,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다.
피터 카딜로 스파르탄 캐피털 시큐리티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경제 전반에 여전히 많은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며 “AI 관련 종목에 대한 조정과 함께 섹터 순환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 뉴욕증시, 셧다운 해제에도 기술주 중심 하락…AI 거품 논란 재부상
- 뉴욕증시, 셧다운 해제 기대 속 혼조…우량주 ‘선방
- 뉴욕증시, 기술주 반등세에도 고점 부담 여전
- 세림B&G, 장중 5%대 상승…저가 매수 유입에 단기 반등세
- 뉴욕증시, 기술주 저가매수에 혼조 마감…나스닥 0.1%↑
- 역대 최장 셧다운으로 미국 경제통계 시스템 '공백'…회복에 수개월
- AI 기업 고평가 우려 속 뉴욕증시 전면 하락…다우 498포인트 급락
- 뉴욕증시, 엔비디아 ‘어닝 서프라이즈’와 고용지표 호조에 반등…3대 지수 강세 출발
- 엔비디아 5%→3% 급락 반전…나스닥 2.2% 폭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