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인트데일리 송가영 기자] 경희대병원 권병수 산부인과 교수팀이 김종민 숙명여대 생명시스템학부 교수, 심가용 숭실대 의생명시스템학부 교수와 함께 바이오플라즈마의 암세포 사멸 및 면역반응 활성 효과를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자궁경부암은 조기 발견 시 수술, 방사선, 항암화학요법 등을 통해 치료 가능하다. 그러나 자궁을 적출하거나 생식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침습적 방법으로 가임기 여성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저온 비열 플라즈마(NTP) 에너지를 자궁경부암 세포와 동물 모델에 적용해 암세포의 사멸효과 및 NTP 민감도, 특정 단백질 간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바이오플라즈마는 환자 유래 자궁경부 조직에서 최대 5mm 깊이까지 침투해 암 세포의 직접적인 사멸을 유도했다. 특히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는 면역원성 세포 사멸까지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세포 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소 SOD1의 발현 수준이 낮을수록 바이오플라즈마 치료에 대한 암세포의 반응성이 높아진다는 점도 확인했다. 이는 세계 최초로 바이오플라즈마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규명한 것이다.
권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암세포를 수술 없이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환자 맞춤형 치료 적용을 위한 바이오마커를 발굴해 바이오플라즈마 분야에서 정밀의료의 문을 열었다"며 "자궁경부암 환자의 35% 이상이 20~40대 가임기 여성인 만큼 정밀 의료 기술이 가임력을 보존하는 치료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