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훈 사장 "AX 시대 열려...새로운 가능성 만든다"
AI 에이전트, 조직과 어우러지려면..."교육 필요해"
복잡한 로봇 알고리즘...삼성전자, AI로 해결 노력

[포인트데일리 이준 기자] 삼성전자는 20일 온라인을 통해 '삼성 테크 콘퍼런스 2025(STC2025)를 열고 AI 전환(AX)에 대한 자사의 전략을 소개했다.
이날 STC2025에서는 전경훈 삼성전자 DX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을 비롯해 삼성전자 연구원 등이 연단에 섰다. 전경훈 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AI는 이미 단순한 도구가 아닌 일상과 업무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며 "디지털 전환을 넘어 AX라는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고 강조했다.
AX의 핵심 기술 △보안 혁신 △지능형 소프트웨어 플랫폼 진화 △AI 로봇 기술 도약 △오픈 소스 생태계 확장 등 4개를 소개했다. 전 사장은 "삼성전자는 여러분들과 다양한 분야 AI 통합으로 더 나은 미래와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김상하 삼성리서치 상무는 'AI 에이전트 기반 업무 혁신과 생산성 향상'에 대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김 부사장은 AI가 자동화된 도구를 넘어 자율적으로 목표를 세우고 학습하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진화하며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AI의 추론 능력이 비약적으로 성장하면서 △브라우저 에이전트 △코딩 AI 에이전트 △쇼핑 AI 에이전트 등 다양한 AI 에이전트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김 부사장은 "AI 에이전트 도입 시 보안과 거버넌스, 가이드라인 및 데이터 연계가 잘 지원돼야 한다"며 "조직 문화와 어우러질 수 있는 교육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정현 삼성리서치 상무는 변화하는 산업 현장 속 피지컬 AI에 대해 소개했다. 권정현 상무는 "로봇이 사람들에게 보다 큰 도움을 주기 위해선 정교한 조작 능력이 필수적"이나 목표물을 정확하게 잡고, 정교한 동작을 알고리즘으로 설계하기에는 복잡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로봇에 AI를 접목시켜 정교화 문제를 학습으로 전환하고, 엔드 투 엔드(E2E) 조작 모델을 도입했다.
이 외에도 권호범 삼성리서치 상무는 타이젠 운영체제(OS)의 발전에 대해 소개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타이젠 AI는 경량화와 최고의 성능을 낼 수 있도록 최적화를 진행했다. 특히 타이젠 에이전트를 도입해 AI OS로의 진화를 선포했다. 타이젠은 리눅스 기반으로 블루투스를 활용해 기기 호환을 지원하는 OS다. 삼성전자는 삼성 TV와 비스포크 AI 등 홈 가전에 사용하고 있다.
황용호 삼성리서치 상무는 AI를 활용한 보안 혁신 기술에 대해 설명했으며, 짐 젬린 리눅스 파운데이션 최고경영자(CEO)는 AI 생태계 동향을 공유했다. 젬린 CEO는 "인프라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오픈소스 AI는 모든 단계에서 전 세계 기술자들이 협업해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후 진행된 기술 세션에서는 삼성전자 연구원 60여명이 통신과 헬스케어, 보안, 스마트싱스 등 다양한 분야에 AI를 적용한 사례를 발표했다. 특히 지난달 출시된 삼성전자의 확장현실(XR) 기기 '갤럭시 XR'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 사례를 소개했다. 이 외에도 보이스피싱과 악성 앱 AI 자동 탐지, AI 기반 고전 영상 복원 등이 공유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