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AI로 유통 단계 단축·배송 속도 향상
롯데, 오프라인 매장 디지털 솔루션 도입

[포인트데일리 김혜미 기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이 29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리면서 국내외 유통기업들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혁신 사례를 공유했다. 롯데와 쿠팡Inc를 비롯한 주요 유통기업 대표들은 AI 기술이 복잡한 유통 단계를 줄이고,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로버트 포터 미국 쿠팡Inc 글로벌 대외협력 최고 책임자(CGAO)는 이날 ‘디지털 전환과 전자상거래 효율화’ 세션에서 쿠팡의 유통 혁신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쿠팡은 미국 기술 기업으로서 AI와 첨단 기술을 활용해 기업 성장을 지원하고 미국이 AI 경쟁에서 세계를 선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며, “APEC 지역에서 AI와 로봇, 스마트 물류, 클라우드 컴퓨팅 등 혁신 분야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해 왔다”고 밝혔다.
포터 CGAO는 쿠팡의 기존 7단계 유통 구조를 AI를 통해 4단계로 통합했다고 설명했다. 유통 단계가 줄어들면서 배송 속도는 빨라지고 비용은 감소했다. 그는 “경주에서 스마트폰으로 주문하면 다음 날 오전 7시 전에 제품을 받을 수 있다”며 “AI를 활용해 물류 전 과정에서 예측과 분석을 통해 즉각 대응한다”고 말했다. 이어 쿠팡이 AI를 적극 활용하며 한국 최대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제 무역을 촉진하는 동시에 중소기업에 공정한 경쟁의 장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롯데 유통군 총괄대표 김상현 부회장은 디지털 전환을 ‘기술이 아니라 고객 경험을 새롭게 설계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했다. 롯데는 국내 1만2000여 개 매장을 중심으로 AI 기반 상품 품질 분석, 다국어 안내 키오스크, AI 소믈리에 등 디지털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김 부회장은 “아시아 소매 매출의 70% 이상은 여전히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생한다”며, “디지털 기술은 오프라인 매장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쇼핑 경험을 만들어가는 혁신의 도구”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고객 맞춤형 광고가 가능해졌으며, 이는 협력 브랜드와 데이터 기반 공동 마케팅, 광고 수익 모델로 확장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유통기업이 고려해야 할 과제로 △개인정보 보호·보안 강화 △규제 완화 및 민관 협력 △지속 가능성 향상을 꼽았다.
이번 행사 좌장을 맡은 박성호 서울대 교수는 “유통산업은 AI와 디지털 전환 시대의 중심에 서 있다”며, “유통은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산업을 넘어 데이터와 광고를 판매하는 미디어 산업으로 확장됐다”고 말했다. 르노 드 바로부아 GS1 CEO도 “디지털 전환은 유통산업에 막대한 기회를 제공하며, 쇼핑 효율 제고와 지속 가능한 기업 운영을 위해 양질의 데이터를 공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APEC CEO 서밋은 국내외 유통기업이 AI를 활용한 혁신과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특히 소비자 맞춤형 경험과 효율적 유통 구조가 미래 유통 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