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실증 모델 도입 계획

(왼쪽부터)정신아 카카오 대표,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최수연 네이버 대표. 사진=네이버
(왼쪽부터)정신아 카카오 대표,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최수연 네이버 대표. 사진=네이버

[포인트데일리 이준 기자] 네이버는 행정안전부, 카카오와 함께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국민이 일상적인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국민비서(가칭)' 개발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민간이 보유한 AI 기술을 공공서비스에 연계해, 국민 누구나 복잡한 절차 없이 필요한 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정부와 민간 플랫폼 간 협력을 통해 AI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한 공공서비스 제공 모델을 실증하는 시범 서비스를 연내 도입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자체 개발한 초대규모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AI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기관과의 데이터 연계를 통해 시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우선 적용 대상 서비스로는 전자증명서 발급 및 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공유누리) 등이 검토되고 있으며, 시범 서비스는 네이버 웹과 앱을 통해 제공될 계획이다. 향후에는 개인화 추천 기능 등을 추가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네이버 내 다른 서비스와의 연계성도 강화할 방침이다.

카카오는 자체 개발 AI 모델 카나나를 적용해 사용자 대화의 문맥과 의도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서비스 실행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에 카카오톡 내 AI 국민비서를 탑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AI 민주 정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혁신 기술과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국민 누구나 말 한마디로 쉽고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는 SRT 승차권 예매, 국세청 미환급금 조회 등 다수의 공공서비스를 민간 플랫폼으로 제공한 경험이 있다"며 "이번 협약이 미래 행정서비스 혁신의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유용하 카카오 AI에이전트 플랫폼 성과리더는 "행정안전부와의 이번 협약은 국민의 일상 속 공공서비스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공공기관과 함께 AI 에이전트를 연결하는 생태계를 함께 구축해 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