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 리포트 결과

 '디지털 경제 리포트 2025' 표지. 사진=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 갈무리
'디지털 경제 리포트 2025' 표지. 사진=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 갈무리

[포인트데일리 이준 기자] 네이버는 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가 국내 디지털 플랫폼의 소비자 후생과 경제적 가치를 계량적으로 분석한 '디지털 경제 리포트 2025'를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일반 국민 6000명을 대상으로 실험경제학 기법을 적용해 12개 주요 디지털 서비스의 사용자 후생 가치를 측정했다.

연구에 따르면 국내 사용자들은 검색과 지도 서비스에서 가장 높은 후생 효과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를 연간 경제적 가치로 환산할 경우 최소 2077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2017년 미국 스탠포드대 Eric Brynjolfsson 교수가 주도한 연구 결과와 정성적으로 유사한 결과로, 당시 미국에서는 검색이 1만7530달러, 지도가 3648달러의 후생 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연구진은 국내 대표 플랫폼인 네이버 생태계에도 동일한 분석을 적용했다. 그 결과, 네이버 내 10개 주요 서비스 중 검색과 지도 서비스가 전체 소비자 후생의 72%를 차지했으며, 연간 각각 704만원, 428만원의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AIST는 이 같은 결과가 검색과 지도 서비스가 디지털 인프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재확인해준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리포트를 통해 "GDP가 제조 기반 경제의 후생 지표라면, 소비자 잉여는 디지털 경제 시대의 새로운 후생 지표"라고 전했다. 

안재현 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장은 “디지털 플랫폼 정책은 사용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해 사회 전체의 복지 증진으로 이어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며 “특히 검색과 지도처럼 사회적 파급력이 큰 디지털 필수재에 대해서는 더욱 신중한 정책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키워드

#네이버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