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원 문턱 못넘은 '생물보안법'…국방수권법 포함 재논의
中 우시엔텍·우시바이오로직스 등 중국 바이오 기업 정조준
법안 통과시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등 바이오 기업 반사이익 기대
업계선 "경쟁 기업 적지 않아…외교 차원의 정책 뒷받침 필요"

[포인트데일리 송가영 기자] 최근 미국 상원이 중국 기업들을 제재하는 '생물보안법'에 대한 재논의를 시작했다. 법안이 통과된다면 중국 기업들의 자리를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메울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다만 중국 기업 이외의 다른 국가 기업들도 시장에 적극 뛰어들 가능성이 높아 외교 차원의 정부 지원도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미 상원은 최근 지난해 통과되지 못한 생물보안법을 '2026 국방수권법안'에 포함시키는 것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생물보안법은 미 정부가 우려하는 생명공학기업, 이들과 거래하는 기업과 계약을 맺거나 보조금 제공을 금지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
이번 논의는 빌 해커티 상원의원, 게리 피터스 상원의원이 국방 세출 법안인 국방수권법에 지난해 통과되지 못한 생물보안법 내용을 포함하는 개정안을 제출하면서 시작됐다.
이에 미 상원이 국방수권법안의 절차적 진행 동의 투표를 진행했고 그 결과 찬성 84표, 반대 14표를 기록하며 공식적으로 심의를 시작하게 됐다.
생물보안법은 △우시앤텍 △우시바이오로직스 △BGI지노믹스 △MGI테크 등 사싱상 중국 기업을 겨냥한 법안으로 불린다. 해당 법안이 처리될 경우 중국 바이오 기업들의 미국 수출이 불가능해진다. 현재 미중 관계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만큼 해당 법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만약 해당 법안이 처리된다면 기존 미국이 주요 수익원이었던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이 반사이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생물보안법 논의가 나왔을 때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바이오 USA에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해 "생물보안법 추진 이후 수주 문의가 2배 늘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미국과 최근 관계가 호전되고 있는 인도, 대미 투자를 강화한 일본의 대형 제약사들도 중국 기업의 입지를 노리고 있어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분석도 적지 않게 나온다.
업계에서도 중국 기업들의 제제로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사업 경쟁력, 기술력 등이 입증된 만큼 수주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외교 차원의 정부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한다.
현재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가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고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시장 점유율을 넓힌다면 미국 정부의 세제 폭탄 등 각종 정책적 제제를 받을 가능성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생물보안법이 통과된다면 국내 바이오 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라며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미국 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입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우호적인 한미 관계를 구축하고 정책적으로 뒷받침하는 움직임들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