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내 ‘다케시마’ 표기 지속
서 교수 “정확한 표기 요구”

한국 검색시 '독도'(왼쪽), 일본 검색시 '다케시마'로 나오는 인스타그램 지도. 사진=서경덕교수(연합뉴스)
한국 검색시 '독도'(왼쪽), 일본 검색시 '다케시마'로 나오는 인스타그램 지도. 사진=서경덕교수(연합뉴스)

[포인트데일리 성창훈 기자] 독도의 국제 표기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최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해외 대부분의 지도 서비스에서 독도 대신 ‘리앙크루 암초’라는 명칭을 사용하거나 아예 표기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에 따르면, 구글 지도는 국내에서는 ‘독도’로 표시되지만 일본 내 검색 결과는 ‘다케시마’로, 기타 국가에서는 ‘리앙쿠르 암초’로 표기해 논란을 빚어왔다. 그는 “수년 동안 구글과 애플에 시정을 요청했으나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며 “과거 마이크로소프트가 독도 날씨 정보를 일본 측 자료로 제공했다가 항의 끝에 수정된 사례가 있었다”고 전했다.

또한 서 교수는 “세계 수십억 명이 사용하는 구글과 아이폰 지도, 인스타그램 지도에서 정확한 독도 표기가 이뤄질 때까지 꾸준히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