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점업체 특약매입 구조 문제 지적
“책임 회피 없다, 시정 조치 실시”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가 지난 해 발생한 ‘농약 성분 우롱차’ 판매 사태와 관련해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공식 사과했다. 사진=연합뉴스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가 지난 해 발생한 ‘농약 성분 우롱차’ 판매 사태와 관련해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공식 사과했다. 사진=연합뉴스

[포인트데일리 김혜미 기자]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가 지난 해 발생한 ‘농약 성분 우롱차’ 판매 사태와 관련해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공식 사과했다. 정 대표는 “국민의 신뢰를 가장 중시하는 백화점에서 이러한 사건이 발생해 죄송하다”며 “책임을 회피할 생각은 전혀 없으며, 전 직원과 함께 최선을 다해 재발 방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는 지난해 4월부터 9월까지 부천 중동점에 입점한 대만 밀크티 전문점 ‘드링크스토어’에서 농약 성분이 검출된 우롱차가 판매되면서 발생했다. 식약처 조사 결과, 해당 티백에서는 살충제 성분인 ‘디노테퓨란’이 검출됐으며, 디노테퓨란은 급성 중독 시 구토, 복통,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물질로 확인됐다. 문제 제품은 약 1만5890잔이 판매된 것으로 집계됐다.

정 대표는 사고 발생 후 3일 만에 사과한 점에 대해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으로부터 지적을 받았다. 이에 대해 그는 “고객 환불 시스템을 마련하고 폐쇄회로(CC)TV 확인과 온라인 피해 접수 준비에 이틀 정도 소요됐다”며 “책임을 회피할 생각은 전혀 없으며,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해 전적으로 책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복지위 위원인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은 이번 사건에서 드러난 특약매입 구조 문제를 집중 지적했다. 특약매입 계약은 백화점이 상품을 외상으로 들여 판매하고, 팔리지 않은 재고는 입점업체가 책임지는 방식이다. 한 의원은 “실질적 책임은 현대백화점에 있음에도, 입점업체가 모든 책임을 지는 구조로, 불공정 계약이 반복되고 있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정 대표는 이에 대해 “현대백화점의 특약매입 계약 비율은 60% 수준이며, 타 업체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시정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전 직원과 함께 판매 구조와 관리 시스템 전반을 점검했고, 외부 전문가도 영입해 안전 관리 체계를 강화했다”고 덧붙였다.

현대백화점은 기존 검사 항목에서는 해당 농약 성분이 확인되지 않았던 점도 인정했다. 정 대표는 “최고 수준의 품질 안전 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이번 사례는 기존 검사 항목에서 제외돼 있었다”며 “앞으로는 모든 입점 상품에 대한 검사를 강화하고, 재발 방지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한 의원은 이번 조치가 단순한 사과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 건강 보호를 위한 실질적 시정 조치로 이어지기를 강조했다. 이에 정 대표는 “모든 조치를 타 업체의 모범 사례로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며 “현대백화점은 고객 신뢰를 최우선으로, 앞으로도 철저한 관리 체계를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