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명 중 73%, '비용효율성'에 AI 쓴다

[포인트데일리 이준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이하 Gen AI)이 전 세계 산업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한국 기업 최고경영진(C레벨) 역시 Gen AI 활용에 높은 관심과 준비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헤드헌팅 및 리더십 컨설팅 회사 하이드릭앤스트러글스는 IT, 제조업, 금융, 의료, 유통 등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국내 C레벨 임원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하이드릭앤스트러글스에 따르면 응답자의 84%가 Gen AI에 '매우' 또는 '어느 정도' 익숙하다고 답했다. 또한, 88%는 자사에서 이미 Gen AI를 업무에 활용 중이며, 도입하지 않은 이들 중 30%도 활용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Gen AI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는 △콘텐츠 제작(80%) △데이터 분석(64%) △고객 서비스 자동화(30%) △제품 및 서비스 추천(29%) △번역 및 요약 등 기타(9%) 순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84%는 Gen AI가 기업 생산성에 '매우 긍정적' 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그러나 자사의 AI 활용 준비 상태에 대해서는 '매우 준비됨' 또는 '어느 정도 준비됨'이라고 답한 비율이 73%였고, '전혀 준비되지 않음'은 27%로 나타나 기업 간 준비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줬다.
활용 배경으로는 △비용 효율성(73%)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강화(73%) △고객 경험 개선(61%)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미국 기업의 Gen AI 도입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더 해킷 그룹 조사에 따르면, 미국 기업의 89%가 Gen AI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이는 전년도 16%에서 약 5배 증가한 수치다.
이들 기업은 주로 고객 경험 개선, 시장 확장, 제품 혁신을 목적으로 Gen AI를 활용하고 있다. 중앙집중형 전략(34%)과 부문별 분산 전략이 혼재하는 구조이며, AI 투자 역시 2025년까지 14%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정부도 Gen AI 생태계 확장에 본격 나서고 있다. Statista는 2025년 한국 Gen AI 시장 규모가 약 13억3000만 달러에 달하며, 연평균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AI 활용률을 2024년 28%에서 2027년 5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AI 스타트업 육성, 스마트팩토리 보급, 데이터 인프라 확충 등이 추진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