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업 등급으로 계약...글로벌 관행과 벗어나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1세미나실에서 '시급한 전력망 확충 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이준 기자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1세미나실에서 '시급한 전력망 확충 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이준 기자

[포인트데일리 이준 기자] 인공지능(AI)와 반도체 등 첨단산업 발전을 위해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망 확충 문제가 급부상한 가운데 민관은 한 자리에 모여 현안을 공유했다.

지난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는 '시급한 전력망 확충 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에는 주최자인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롯해 전력 산업 관계자가 모였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지방에서 생산한 전기를 수도권으로 연결하는 것을 돕는 초고압직류송전(HVDC)을 주로 다뤘다. 발제를 맡은 김승완 한국에너지공대 교수는 '에너지 고속도로 실현을 위한 통합적 계획과 해상그리드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지역 주민들로 인해 송전 선로 사업이 지연되는 사례를 언급하며 보상을 높이는 방안을 제언했다. 김 교수는 "동해에서 280km를 전력을 끌고 왔는데 일부 지역 주민의 동의를 받지 않는다면 결국 수도권에서 사용할 수 없다"며 "이를 해결 하기 위해 많은 설득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세계 최대 용량의 HVDC 케이블을 상용화에 성공한 LS전선의 박승기 상무는 장기 계약을 주로 맺는 글로벌 업계 관행을 설명하며 "(반면) 국내는 사업 등급 단위로 계약을 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박 상무는 "공조가 이뤄져야 국가 에너지 정책과 경제 효과를 더불어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의 협조를 호소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공약으로 서해와 호남 지역에서 생산한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는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을 내세운 바 있다. 이재명 정부는 2030년까지 에너지 고속도로를 건설해 지방에서 생성한 재생에너지를 수도권으로 옮길 구상이다. 

박 상무는 이날 토론회에서 해당 사업을 두고 "HVDC 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키워드

#HVDC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