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서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발생…중수본, 위기 경보 '심각' 상향
올해 여섯 번째 ASF 확진…충남에서는 처음 발생 중수본, 48시간 동안 일시이동중지 명령…인근 긴급방역 긴급 정밀검사도 시행…이동 제한 해제시까지 임상검사 실시
[포인트데일리 송가영 기자]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중수본)는 25일 충남 당진시 소재 돼지 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진됐다고 밝혔다.
중수본은 ASF 발병에 따라 이날부터 전국 모든 지역에 대한 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상향했다.
이와 함께 농장 간 수평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발생 지역을 포함한 전국에서 이날부터 48시간 동안 돼지농장, 도축장, 사료공장 등 축산 관계시설 종사자와 차량에 대한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내렸다.
이번 ASF 확진은 지난 9월 경기 연천군에서 확인된 이후 2개월 만이며 올해 여섯 번째다. 충남에서는 처음 발생했다.
현재 중수본은 ASF 발생 농장에 초동방역팀, 역학조사반을 현장에 파견해 외부인과 차량의 농장 출입 통제하고 돼지 살처분, 소독과 역학조사 등 긴급방역 조치를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발생지역 내 바이러스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광역방제기, 방역차 등 가용한 소독 자원 31대를 총동원해 당진과 인접한 서산·예산·아산 등 3개 시군 소재 돼지농장 313곳과 주변 도로를 소독하고 있다.
중앙기동방역기구 인력을 발생 농장에 파견해 살처분, 매몰, 잔존물 처리 등 현장 상황을 관리하고 있다. 발생농장 반경 10㎞ 방역대 내 30개 농장과 발생농장과 역학관계가 있는 돼지농장 106곳에 대해서는 긴급 정밀검사를 벌이고 있다.
중수본은 ASF 추가 발생과 수평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방역대와 역학 관련이 있는 돼지농장 136곳에서 1·2차 임상검사와 정밀검사를 7일 이내에 마무리하고 이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매주 1회 임상검사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권역화 지역 내 농장에서 도축장 출하 등 돼지 이동 시마다 임상·정밀검사를 실시한다.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는 위험지역 농장 이상 유무를 매일 전화로 점검할 계획이다.
김정욱 농림축산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이전까지 발생한 5건의 ASF는 모두 경기 북부에서 발생했으나 이번에는 우리나라 돼지 사육 규모가 가장 큰 충남에서 발생해 사안이 중대하고 전국 확산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용한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총동원해 추가 발생이 없도록 총력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