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한국서 ‘엔터테인먼트 전용 공간’ 세계 첫 공개
숏폼 드라마 열풍, 한국 우선 도입 한국 앱 다운로드 글로벌 강세 구글 플레이, 일자리 확대
[포인트데일리 성창훈 기자] 구글이 한국을 비롯한 미국 시장에 ‘엔터테인먼트 전용 공간’을 선보이며 숏폼 드라마와 웹툰, 영화, TV 프로그램을 아우르는 콘텐츠 허브 전략을 본격화했다.
구글 플레이 총괄 샘 브라이트 부사장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 본사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지난해 한국에서 숏폼 드라마에 대한 관심이 13배 늘어난 것을 확인했다”며 “사용자와 파트너 개발자의 요구를 반영해 한국에 우선 도입했다”고 밝혔다.
구글이 내놓은 ‘엔터테인먼트 전용 공간’은 인도의 ‘크리켓 허브’, 일본의 ‘만화 공간’과 유사한 개념으로, 특정 콘텐츠 장르를 집중 제공하는 형태다. 브라이트 부사장은 “한국은 숏폼 드라마 열풍이 두드러지는 시장”이라며 “새로운 서비스가 한국 이용자들의 시청 행태에 맞춰 확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브라이트 부사장은 한국 개발자들의 글로벌 경쟁력도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구글 플레이에서 한국 개발자들이 만든 앱 다운로드는 20억 건에 달했으며, 이 중 4억9천만 건이 국내에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15억 건 이상은 해외에서 이뤄져 한국 콘텐츠의 세계적 영향력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구글은 카카오, 네이버, 쿠팡플레이 등 국내 주요 콘텐츠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드라마, 웹툰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구글 플레이 생태계가 창출한 경제적 효과도 강조됐다. 브라이트 부사장은 “앱 생태계를 통해 한국에서 44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생겨났다”며 “구글 플레이에 등록된 한국 개발자는 11만 명이 넘는다”고 소개했다.
일본에서 ‘만화 공간’이 확대되며 이용자가 급증한 사례를 언급한 브라이트 부사장은 “한국에서의 성과가 글로벌 확장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향후 엔터테인먼트 전용 공간을 전 세계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