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클라우드, 개발자 터미널용 AI 에이전트 '제미나이 CLI' 무료 공개

"터미널에서 바로 AI 활용"… 개발자용 명령줄 AI 도구 출시

2025-06-26     손지하 기자
제미나이 CLI를 활용한 영상 제작. 사진=구글 클라우드

[포인트데일리 손지하 기자] 구글 클라우드가 개발자들이 터미널에서 직접 인공지능(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AI 에이전트 '제미나이 CLI'를 26일 프리뷰 버전으로 무료 공개했다고 밝혔다.

명령줄 인터페이스(CLI)는 개발자들이 텍스트 기반으로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터미널을 통해 각종 개발 작업을 수행하는 필수 도구다. 터미널 환경에서의 AI 지원 필요성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구글 클라우드가 이번 서비스를 출시하게 됐다.

◇제미나이 2.5 프로 모델 지원, 하루 1000회 무료 사용=제미나이 CLI는 구글의 생성형 AI 모델인 제미나이의 강력한 기능을 터미널에서 직접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개발자들은 프롬프트 입력 시 제미나이 모델이 이를 곧바로 처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받는다.

개인 구글 계정만 있으면 누구나 제미나이 CLI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구글의 AI 코딩 지원 도구인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에 통합 제공되며 구글 계정 로그인만으로 무료 라이선스를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미나이 2.5 프로 모델과 100만 토큰에 달하는 방대한 컨텍스트 창을 활용할 수 있다.

구글 클라우드는 프리뷰 기간 업계 최대 규모의 사용량을 제공한다고 전했다. 분당 60회, 하루 1000회의 모델 요청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전문 개발자나 특정 모델 사용을 선호하는 경우에는 구글 AI 스튜디오 또는 버텍스 AI 키를 통해 사용량 기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의 스탠더드 또는 엔터프라이즈 라이선스를 통해 확장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코딩부터 콘텐츠 생성까지 다재다능한 AI 도구=제미나이 CLI는 탁월한 코딩 성능을 바탕으로 콘텐츠 생성 및 문제 해결부터 심층 연구, 작업 관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AI 도구로 설계됐다. 코드 이해 파일 조작, 명령어 실행, 동적 문제 해결 등 모든 영역에서 강력한 AI 기능을 제공한다.

개발자들은 자연어를 통해 코드를 작성하고 문제를 디버그하며 워크플로를 간소화할 수 있어 CLI 경험이 근본적으로 향상된다. 제미나이 CLI는 구글 검색 기반 프롬프트 그라운딩으로 웹페이지를 불러와 모델에 실시간 외부 컨텍스트를 제공하며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 지원 및 번들 확장 기능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프롬프트와 명령어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특정 요구사항 및 워크플로에 맞게 제미나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스크립트 안에서 제미나이 CLI를 비대화형으로 호출해 작업을 자동화하고 기존 워크플로와 통합할 수 있다.

◇완전한 오픈소스로 개발자 커뮤니티 참여 유도=제미나이 CLI는 아파치 2.0 라이선스의 완전한 오픈소스로 공개된다. 개발자들은 코드를 검토해 작동 방식을 이해하고 보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수 있다. 구글 클라우드는 전 세계 개발자 커뮤니티가 버그를 보고하고 기능을 제안하며 보안 관행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코드 개선 사항을 제출하는 등 제미나이 CLI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제미나이 CLI는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과 같은 최신 표준, 시스템 프롬프트, 개인 및 팀 구성을 위한 환경 설정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구글 클라우드는 모든 개발자가 자신만의 고유한 터미널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VS 코드와 연동으로 통합 개발 환경 제공=제미나이 CLI는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와의 통합을 통해 학생, 취미 개발자, 전문 개발자를 모두 지원한다. 두 제품이 동일한 기술 스택을 제공함에 따라 코드 어시스트를 사용하는 모든 개발자는 프롬프트 중심의 AI 기반 코딩 경험을 VS 코드와 제미나이 CLI 양쪽 환경에서 모두 누릴 수 있게 됐다.

VS 코드 환경에서는 에이전트 모드를 사용해 채팅 창에 프롬프트를 입력하기만 하면 코드 어시스트가 개발자를 대신해 테스트를 작성하고 에러를 수정하며 기능을 구현하고 코드를 마이그레이션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코드 어시스트의 에이전트는 입력된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단계별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오류가 발생한 경로를 자동으로 복구하며 예상치 못한 해결 방안을 제안한다.